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OC
- ES6
- nodejs
- sass
- vuex
- express
- jsx
- 댓글달기
- MySQL
- 자료구조
- 리액트
- 쉬운설명
- Vue transition
- TypeScript
- scss
- Vue
- App.vue
- JavaScript
- State
- 자바스크립트
- Vue.js
- v-html
- webpack
- react
- CSS
- Wecode
- mapGetters
- input
- storybook
- event
- Today
- Total
익명의 개발노트
몽고디비 실행시 네트워크 쪽에 permission denied 발생시 조치방법은 아래와 같이 mongodb-27017.sock 파일 삭제 후 sudo rm -rf /tmp/mongodb-27017.sock 서비스 실행해주면 해결된다. brew services start mongodb-community@4.2
1. 정의 HTML5에서 새로 추가된 스펙이며, 실시간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술 2. 특징 1) HTTP 프로토콜이 아닌 WS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버나, 클라이언트에서 WS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사용가능 2) 웹 소켓 연결이 되면, 계속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업데이트 등의 요청을 보낼 필요가 없고, 업데이트 내용이 존재할 경우 서버에서 바로 클라이언트로 알림을 줌. 3) HTTP 프로토콜과 포트를 공유 4) Polling 방식에 비해 성능 개선 * 노드는 ws나 socketIO 같은 패키지를 통해 웹소켓 사용할 수 있음. 3. 상태종류 1) CONNECTING 2) OPEN : OPEN 일때 error 없이 메세지 보낼 수 있음. 3) CLOSING 4) CLOSED

무분별한 api 호출을 제한하기 위해 express-rate-limit 라이브러리를 설치해보자 npm i express-rate-limit RateLimit 미들웨어를 라우터에 넣으면 라우터에 사용량 제한걸림. const jwt = require('jsonwebtoken'); const RateLimit = require('express-rate-limit'); exports.apiLimiter = new RateLimit({ windowMs: 60 * 1000, // 기준시간 max: 1, //허용횟수 delayMs: 0, //호출간격 //제한 초과시 콜백함수 handler(req, res) { res.status(this.statusCode).json({ code: this.status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