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torybook
- HOC
- App.vue
- 자료구조
- TypeScript
- event
- nodejs
- Wecode
- react
- jsx
- 리액트
- v-html
- mapGetters
- express
- sass
- Vue
- JavaScript
- input
- MySQL
- State
- Vue transition
- 쉬운설명
- ES6
- CSS
- 댓글달기
- scss
- vuex
- Vue.js
- webpack
- 자바스크립트
- Today
- Total
익명의 개발노트

위와 같이 인풋창에서 한글입력시 이벤트가 한템포 늦게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글이 2byte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런문제가 생기는데, (한글뿐만 아니라, 일본어, 중국어도 마찬가지) 공식문서를 참고하면 IME를 요구하는 즉 한글과 같은 언어가 제대로 업데이트되기 위해서는 v-model대신 input directive를 사용하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런경우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해 준다. 아래와 같이 잘 나타난다.

우선 설명하기전에 Blob에 대해서 설명하고 넘어가려 한다. Blob: Binary Large Object의 줄임말로 써 이미지, 사운드 파일 같이 하나의 큰 파일을 의미하며, 이런 파일들은 특별한 방법으로 다루어야하며,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저장하기 위해 주로 사용한다. (Blob객체 참고) 은 .files라는 것을 가지고, files는 File 객체(new File())의 콜렉션이다. 그리고 File객체는 Bolb를 확장해서 만들어 진 것이며, Blob를 쓸 수 있는 곳이면 File도 사용할 수 있다. * 모든 DBMS가 BLOB를 지원하지는 않음. input type="file" 로 이미지 미리보기 기능 구현시 reader 객체를 써서하는 dataURL방법과 URL 객체인 createObjectURL..

Vuex를 사용하다보면, 내가 사용하는 쪽에서 Vuex 상태관리 내용을 보고 싶을 때, 크롬 Vuex extenstion을 설치해서 확인하는데, 이 익스텐션에서 아래와 같이 Load State를 눌러가면서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럴때 사용하고자하는 페이지에 mapGetters를 사용하지 않아도 아래와 같이 선언을 해주면, import { mapGetters } from 'vuex'; export default { computed:{ ...mapGetters(['사용하고자하는 store이름']) }, ... } 아래와 같이 vuex bindings 라는 상태창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굳이 vuex 탭가서 확인할 필요가 없다.